PM 다이어리

[내일배움캠프] PM 아티클 스터디 : 도그냥의 역기획 스터디법 - 혼자서 서비스 기획을 공부하는 방식 본문

PM

[내일배움캠프] PM 아티클 스터디 : 도그냥의 역기획 스터디법 - 혼자서 서비스 기획을 공부하는 방식

응애 PM 2025. 4. 8. 19:28

썸넬 안습 제리.

 

어제보다 건강해진 나 등장. 자연치유로 감기를 어느정도 극복했다.

 

그러나 공부 -> 잠 -> 공부.. 여기가 무간지옥인가? 하지만 4달은 남았다는 거..

 

어쨌든 오늘 하루도 또 다시 밝았다.

진짜 이래도 되나..

 

제목만 보면 정말 막 나갈것만 같은 팀이다💀💀 저거 어차피 다 내가 쓴 건디

 

직무스터디 팀활동은 안 끝났지만 어제 TIL에 관련 내용을 다 정리해놔서 개인 시간이 남는다.

 

그래서 앞으로 있을 역기획 프로젝트에 대비하여 '역기획' 이란 무엇인지, 어떻게 진행하는 지 관련 정보를 찾아보다가

 

이쪽 업계에서 유명하신 '도그냥' 님의 역기획 아티클을 읽어보고, 관련 내용을 다뤄보기로 했다.

 

그 전에 플레이리스트 하나 또 드랍하고 가겠다.


https://www.youtube.com/watch?v=P-E3l-A62bc

< 위수(WISUE) - 교토 >

노래와 별개로 위수라는 아티스트의 음색을 좋아해서 위수의 음악을 꽤 자주 듣는다.

 

난 이 노래를 항상 하루를 시작할 때 들었는데, 댓글을 보니 대부분의 사람들은 하루를 마무리하는 밤이나 새벽에 듣더라.

 

하긴 가사만 보면 아침에 들을 노래가 아닌 거 같네..

 

난 멜로디가 아련하고 편안해서 내리쬐는 따뜻한 햇볕을 받으며, 아침을 완보할 때 이 노래를 들으면 기분이 좋았다.

 

일본의 '교토'로 여행갔을 때 이 노래를 들으면 청취감이 배로 오른다. (개인적인 주관임ㅇㅇㅇ, 일본 가고 싶다..)


💎 도그냥의 역기획 스터디법 - 혼자서 서비스 기획을 공부하는 방식

https://groschool.kr/category/business/post/reverse-planning

 

혼자 서비스 기획을 공부하는 방법

도그냥의 역기획 스터디법 - 회사 없이도 혼자 서비스 기획을 마스터해 보자

groschool.kr

 

기획을 배우려면 기획을 해봐야 한다.

 

 

근데 혼자서 무엇을 어디서 어떻게 함?

 

혼자서 서비스 기획을 연습하는 방법이 '역기획'이다.

 

역기획이란 기존에 만들어져 있는 서비스를 보며 '역'으로 어떻게 기획되었는지를 정리하는 방식이다.

 

기획은 '사고🧠의 과정'이다. 그렇기에 사고의 과정을 따라해야 역기획이 된다.

 

그럼 어떻게 해야할까?

 

UI를 UI 자체로만 바라보는 게 아닌, Description을 쓸 수 있을만큼의 가설을 생각해봐야 한다.

 

이때 핵심은 데이터와 로직을 주어진 조건 내에서 파악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본격적으로 시작해보자.

 

🎯 STEP 1. 서비스 선택 및 서비스 구조 / BM 파악

서비스 선택 시 서비스의 관점에서 '데이터 기준'을 세울 수 있는 지를 파악하자.

 

ex) Youtube의 경우 동영상 등록자 / 동영사 시청자, 광고 및 동영상 리스트 매칭 추천 기술

 

단순 화면 상에서 세우는 게 아닌, 더 넓은 관점으로 리스트를 잡아야 한다.

 

추가로 비즈니스 수익구조도 파악해야 한다.

 

관련 기사 등 자료에서 파악하거나 스스로 이해할 틀을 마련해야 한다.

 

 

🎯 STEP 2. 데이터 가설 설정 및 검증

서비스의 BM이 어느정도 분석됐다면 데이터 가설을 세우자.

 

가장 핵심이 되는 부분에 집중하는 것이 팁이다.

 

만약 Netflix 서비스를 예로 든다면 핵심 기술은 '취향 분석에 따른 영화 추천'이다.

 

그렇다면

 

1️⃣ 영화 추천을 어떤 기준으로 추천을 해주는 가? (컨텐츠? 유사 유저?)

2️⃣ 취향 분석은 어떻게 진행되는가?

 

과 같이 가설을 세울 수 있다. 이때 이러한 가설을 세우기 위해선 서비스를 이용해봐야 한다.

 

어떤 데이터가 활용되는 지를 잘 파악하자. ex) 설문조사 데이터 / 분야 별 영화 선호도 데이터 등

 

그리고 해당 데이터들을 각자의 방식으로 카테고리를 구분하고 로직을 이해하여 가설을 세우자.

 

이를 통해 이후 실무에서 기획하다가 오류를 찾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일맥상통한 부분)

 

 

🎯 STEP 3. 회사의 목표, 전략, 특징 조사 및 분석 후 코멘트 달기

생각한 가설과 다른 경우 고객이 불편할 경우가 있다.

 

일반적인 UX 업무를 하는 사람들은 이 부분에 화를 내지만, 이 부분이 '의도'된 것인지 확인해야 한다.

 

일부러 비즈니스 차원의 Revenue를 위해 광고를 스킵하지 못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유료 멤버십의 권유 / 홍보로 이어지게끔 하기 위한 회사의 전략일 수도 있으며,

 

혹은 관련 법령 혹은 규제로 인해 어쩔 수 없이 의도된 경우일 수도 있다.

 

최종적으로 전체 서비스 프로세스를 도식화하고 각 데이터 항목의 흐름과 알고리즘을 이해한대로 작성하고 코멘트를 달아보자.

 

 

🎯 STEP 4. 경쟁사와 비교하기 

언뜻 보기엔 비슷해 보여도 사실 조사를 하다보면 기반이 굉장히 다를 수 있다.

 

비즈니스 구조와 전략에 따라 UI 형태가 굉장히 달라질 수 있다.

 

조사를 통해 이해한 지식을 자신의 어휘로 다시 정리해두자.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자신만의 디지털 프로덕트 구성과 비즈니스에 대한 이해의 틀을 만들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오늘 내용은 짧고 굵게 정리가 가능하다.

 

📌 '역기획'은 혼자 서비스 기획을 연습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이미 기존에 만들어져 있는 서비스를 역으로 어떻게 기획했는지를 정리하여

선택한 서비스의 구조, BM을 파악하고 활용되는 데이터들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가설을 세우고

세운 가설과 실제 회사의 목표, 전략 및 경쟁사의 경우와 비교해가며

나만의 디지털 프로덕트를 구성하고 비즈니스에 대한 이해의 틀을 마련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앞으로 역기획 프로젝트를 할 예정인데, 이젠 슬슬 기대가 된다.

기대가댐미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