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FIGMA
- 토스세션
- Spotify
- 데이터해석
- aarrr
- 도그냥
- 결측치
- prd작성
- mysql
- 스타트업
- 아이스브레이킹
- jira
- 소프트스킬
- 패러프레이징
- pm역량
- 그로스해킹
- 서비스기획
- 내일배움캠프
- sql 예제
- SQL
- 우아한형제들
- 와이어프레임
- 문제정의
- 당근마켓
- 스크럼
- PRD
- groupby
- orderby
- pm아티클
- pm
- Today
- Total
목록pm아티클 (8)
PM 다이어리

어제보다 건강해진 나 등장. 자연치유로 감기를 어느정도 극복했다. 그러나 공부 -> 잠 -> 공부.. 여기가 무간지옥인가? 하지만 4달은 남았다는 거.. 어쨌든 오늘 하루도 또 다시 밝았다. 제목만 보면 정말 막 나갈것만 같은 팀이다💀💀 저거 어차피 다 내가 쓴 건디 직무스터디 팀활동은 안 끝났지만 어제 TIL에 관련 내용을 다 정리해놔서 개인 시간이 남는다. 그래서 앞으로 있을 역기획 프로젝트에 대비하여 '역기획' 이란 무엇인지, 어떻게 진행하는 지 관련 정보를 찾아보다가 이쪽 업계에서 유명하신 '도그냥' 님의 역기획 아티클을 읽어보고, 관련 내용을 다뤄보기로 했다. 그 전에 플레이리스트 하나 또 드랍하고 가겠다.https://www.youtube.com/watch?v=P-E3l-A62bc노래와 ..

어제 오랜만에 운동을 나갔다가 감기 몸살이 왔다.. 그래서 오늘 하루종일 메롱인 상태로 수업 참여 중;;🤪 그래도 할 건 해야겠지..? 오늘의 플레이리스트 간다. https://www.youtube.com/watch?v=Xs9mmB1FbEQ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앨범의 최애곡이다. 앨범 전체적으로 멜로디가 편안해서 공부할 때나 드라이브 갈 때도 자주 듣는다. 대학교 다닐 시절에 시험 보기 전에 이 노래 듣고 가면 성적이 잘 나왔던 징크스가 있다 ㅋㅋ📙 PM 아티클 -직관만 믿고 덤볐다가 큰코다친 PM의 사연https://medium.com/daangn/%EC%A7%81%EA%B4%80%EB%A7%8C-%EB%AF%BF%EA%B3%A0-%EA%B9%8C%EB%B6%88%EC%97%88%EB%8B%A4%EA..

오늘도 PM 관련 아티클을 읽어봤다. 사실 첫 번째로 스터디를 진행했어야 할 아티클이지만, 오늘이 사전캠프 마지막 날인만큼 PM의 뜻와 역할을 머릿속에 뚜렷하게 정의해놓기 좋을 것 같아서 맨 마지막날인 오늘 스터디를 진행했다. 일단 아티클 제목부터 조금 친숙했다. 베스트셀러인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을 변형한게 눈에 띄었다 ㅋㅎㅋ 아티클을 쭉 읽어보았는데 이미 내 티스토리 글들과 중복되는 내용이 다수 있고, 내용이 상당히 많아서 읽는데 고봉밥.. 먹는 느낌이었다. 누가 물 💧 좀 다오..ㅎㅎ; 오히려 맨 처음 스터디할 때 읽었다면 힘들었을 것 같다. 챙기고 싶은 핵심들만 뽑아서 최대한 요약해보았다. 앗 참고로 글에서는 PM을 '프로젝트 매니저' 라고 정의했는데, PM은 '프로젝트 매니저',..

오늘도 어제와 마찬가지로 PM 아티클 하나를 읽고 핵심 내용 정리 및 요약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번 아티클은 '문제 정의 및 해결'하는 내용과 '데이터 해석'에 관련된 내용을 다뤘는데, 문제 정의 및 해결 내용은 요즘 많이 다루긴 했지만 데이터 관련 내용도 함께 있으니 같이 톺아보자. 🚩 아티클 링크 ↓ ↓ ↓ ↓ ↓ ↓ ↓ http://yozm.wishket.com/magazine/detail/2652/ ‘데이터’로 프로덕트 문제 탐구하는 방법 | 요즘ITProduct Manager(이하 ’PM’)는 프로덕트 성장을 위해 끊임없이 고민합니다. 특히 고객과 사업 측면에서 모두 충족할 만한 가치를 고민하는데요. 이때 데이터를 활용해 문제를 추정하고 해결책을 찾yozm.wishket.com🔰 문제 정의..

이번 시간도 마찬가지로 PM 아티클을 읽고 관련 핵심 내용 요약 및 정리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번 아티클의 핵심 주제는 '분할과 정복'이었다. 이전에 정보처리기사를 살짝 공부할 때 잠시 다뤘었던 개념인데 아티클로 접하게 되니 반가웠다. 아티클 글을 보면서 내용을 정리해보았다. 🚩 아티클 링크 ↓ https://brunch.co.kr/@dontgiveup/209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어릴 적 PC 게임을 했다. 인터넷이란게 없던 시절, 직접 데스크탑 로컬에 설치하는 게임이었다. 플로피 디스크 여러 장을 번갈아 끼우며 인스톨하던 낭만이 있었다. 당시 몇 가지 게임을 했었는brunch.co.kr당신은 무슨 일을 하는 사람입니까?'문제를 해결하는 사람'입니다. 서비스 기획자가 어떤 사람이냐고 정의한다면 이 글..

오늘도 어제와 마찬가지로 PM 관련 아티클 하나를 읽고 핵심 내용을 요약 및 정리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번 아티클은 PM과 부딪히는 주장들과, 타협하지 말아야 될 이유에 대해 근거를 들어 설명하는 글이었다. (내용들이 되게 직설적이었다;;) 왜 타협하지 않는 것이 올바른 방향으로 제품 개선을 이끌게 되는지, 아티클 내용과 함께 알아보도록 하자. 🚩 아티클 링크 ↓ https://brunch.co.kr/@lulina724/27 새로운 기능을 만들기 위한 최악의 설득 근거프로덕트 매니저라면 이 주장만은 피하세요 | 많은 모바일 제품 기반 비즈니스에서, 프로덕트의 변화는 제품팀 뿐 아니라 사업, 운영, 마케팅 등 전사 여러 조직에 영향을 미칩니다. 모든 팀에서brunch.co.kr현실을 직시하자. 당신의 ..

이번 시간엔 PM 관련 아티클 하나를 읽고 관련 핵심 내용을 정리 및 요약하면서 느낀 점을 적어보려고 한다. 🚩 링크는 바로 아래에 남겨놓았다. https://story.pxd.co.kr/1557 내가 PM하기 전에 알았으면 좋았을 것들들어가면서 이번 프로젝트에서 처음으로 PM을 맡아 4명의 팀원과 함께 2달간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하면서 고민했던 것이나, 새로 배운 점을 공유하려 합니다. 저처럼 디자인 컨설팅 회사에story.pxd.co.kr💎 리더십은 후천적 자질?관리는 역할입니다. 선생님이나 경찰처럼요. 누가 당신에게 그 역할을 맡길 수도, 그만두게 할 수도 있습니다. 반면 리더십은 고유한 특질이에요. 노력해서 얻을 수 있는 자질입니다.Management is a job. It’s a rol..

오늘은 PM 및 기획에 관련된 아티클을 읽고 정리한 핵심 내용과 느낀 점들을 적는 시간을 가져보았다. 아티클 링크는 아래 블럭에 남겨 놓았다. 더보기📌 링크 >>>>>>> https://brunch.co.kr/@ashashash/177· 서비스 기획자- 기획자 : 목표를 위해 없던 일을 새로 만들어 세부적인 계획까지 연결하는 사람 - 서비스 기획자 : 상상(What)을 실제로 어떻게(How), 얼마만큼 구현할 건지에 초점. · UX / BM (Business Model)- 기획안에 T/F는 없지만, 서비스의 논리적 지향점의 기준으론 맞고 틀린 지점이 있을 수 있음 - '자신'의 이용경험 기준의 추측 -> 논리와 근거없는 가설. 논리적 기획이 될 수 없음 - 자신의 경험이 시작점은 될 수 있음. =>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