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SQL
- 소프트스킬
- PRD
- pm아티클
- groupby
- prd작성
- Spotify
- 당근마켓
- 우아한형제들
- 그로스해킹
- mysql
- 결측치
- 와이어프레임
- 스타트업
- FIGMA
- aarrr
- orderby
- 문제정의
- 토스세션
- 패러프레이징
- 서비스기획
- 내일배움캠프
- 아이스브레이킹
- pm
- jira
- sql 예제
- 데이터해석
- 도그냥
- pm역량
- 스크럼
- Today
- Total
PM 다이어리
[내일배움캠프] PM 아티클 스터디 - 처음 PM이 된 당신에게 필요한 넓고 얕은 지식 본문
오늘도 PM 관련 아티클을 읽어봤다.
사실 첫 번째로 스터디를 진행했어야 할 아티클이지만, 오늘이 사전캠프 마지막 날인만큼 PM의 뜻와 역할을 머릿속에 뚜렷하게 정의해놓기 좋을 것 같아서 맨 마지막날인 오늘 스터디를 진행했다.
일단 아티클 제목부터 조금 친숙했다. 베스트셀러인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을 변형한게 눈에 띄었다 ㅋㅎㅋ
아티클을 쭉 읽어보았는데 이미 내 티스토리 글들과 중복되는 내용이 다수 있고,
내용이 상당히 많아서 읽는데 고봉밥.. 먹는 느낌이었다. 누가 물 💧 좀 다오..ㅎㅎ; 오히려 맨 처음 스터디할 때 읽었다면 힘들었을 것 같다.
챙기고 싶은 핵심들만 뽑아서 최대한 요약해보았다.
앗 참고로 글에서는 PM을 '프로젝트 매니저' 라고 정의했는데, PM은 '프로젝트 매니저', '서비스 기획자', 'PO' 등 다양하게 불리는데 다 같은 의미라고 생각하면 된다!(아마 PM의 개념이 외국에서 건너오면서 여러 단어가 이리저리 섞인 것 같다.)
🚩 아티클 링크 ↓ ↓ ↓ ↓ ↓ ↓ ↓ ↓ ↓
https://brunch.co.kr/%40edte1020/88
처음 PM이 된 당신에게 필요한 넓고 얕은 지식
프로젝트 매니지먼트에 대한 기본적 이해 | 이번 아티클은 처음 PM이 된 분들이 알아두면 좋을 법한 프로젝트 매니지먼트에 대한 개괄 지식을 적었습니다. BAT에서 처음으로 제대로 된 팀 단위 업
brunch.co.kr
💎 PM의 정의와 역할
PM은 프로젝트 시작부터 종료까지 조직 / 대인관계에 대한 스킬을 활용하여 프로젝트에 대한 가이드를 주며 프로젝트 수행 계획 작성, 업무 조직화 및 관리, 예산 관리, 시간 관리 등을 수행한다.
프로젝트의 업무들을 나누고 중요도에 따라 우선순위를 나누고, 이 업무를 가장 잘 수행할 수 있는 사람들에게 위임한다. 그리고 팀원과 고객 등 관련된 모든 인원에게 밀접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업무의 성공적인 수행과 완료로 이끈다.
고객이 누구인지 정의하고 (고객도 중요도 등에 따라 분할 가능) 고객의 요구와 기대, 기준을 이해하고 충족시켜야 한다. 이때 고객에게 집중하기 위해 '질문'을 통해 그들의 문제(Story)가 무엇인지 물어보며 고객의 목표를 명확하게 이끌어 최종 결과물(Product) 제작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
앞서 말 했듯 각 멤버들의 특징(동기, 강점, 약점 등)에 대해 시간을 들여 이해 및 파악한 뒤, 팀원들이 하나가 되도록 분위기를 조성하고 각 팀원들을 독려하고 지속적으로 소통하여 상태를 체크하며 프로젝트 수행 관리에 힘써야한다. 이때 커뮤니케이션은 당연히 필수!
또한 기존 업무방식에 갇혀있는 것이 아닌 계속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하고 협업 프로세스를 고안하거나 툴을 바꾼다던지 새롭고 혁신적인 방식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독려해야 한다. 이때 팀원들이 Why? 라고 한다면 이를 설득시키는 것이 PM의 역량.. Why?를 이해시키고 설득시킬 수 없는 PM이라면 독하게 말해서 PM의 자격이 없는 것.
R&R(Roles & Responsibilities) 을 이해하고 프로젝트를 플래닝하고 조직화하여 업무 프로세스를 만들고 수행계획 / 타임라인들을 도구를 활용하여 작성하고 이외 다른 문서들(PRD)도 작성하여 지속적으로 프로젝트를 팔로업 해야한다. 그리고 각 멤버들의 업무 능력 및 특성에 따라 티칭 및 매니징하는 방식을 다르게 취해야 한다.
그리고 팀원과의 정기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마일스톤 달성 상황, 완료된 과업, 프로젝트 목표 완수까지 남은 시간과 예산을 공유하고 이를 문서화하여 지속적으로 추적이 가능하도록 해야한다.
💪 PM의 스킬 / 역량
· 필요한 지식
- Tools(Jira, 노션 등)에 대한 지식
- Templates에 대한 지식
- 매니지먼트 방법론(워터폴, 애자일, 칸반 등)에 대한 지식 및 이해
· 핵심스킬
- 커뮤니케이션 스킬 (공감과 신뢰, 강한 조직화, 동기부여 등)
- 퍼실리테이션 (Facilitation)
- 문서화 (프로젝트 세부 계획, 목표, 예산, 자원 등 정의)
- 유연한 사고 (계획 수립, 추가 문제들에 대한 대처)
· 필요 역량
- 문제 해결 능력
- 데이터 분석 및 해석
- 커뮤니케이션 능력
- 리더십
프로젝트 방법론은 이전에도 다룬 적이 있는 내용이라 과감히 전부 생략했다.. ㅎㅎ;
그동안 내가 썼던 글들보다 훨씬 간략하게 줄여서 그런가 내용이 별로? 없는 것 같다;;
PM이 필요한 지식, 스킬, 역량을 최대한 컴프레스 해봤는데 나름 만족스럽다.
🎯 PM이 필요한 지식, 스킬, 역량에 대해 혼동하지 않고 이번 글을 쓰면서 머릿속에 꼭 도장찍을 것!!
'PM'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일배움캠프] PM - Jira(스크럼)를 다뤄보자! (0) | 2025.04.01 |
---|---|
[내일배움캠프] PM - 다양한 PM 관련 기술 블로그 탐방 👀 (2) | 2025.03.31 |
[내일배움캠프] PM 아티클 스터디 - '데이터'로 프로덕트 문제 탐구하는 방법 (0) | 2025.03.27 |
[내일배움캠프] PM 팀활동 - 문제 정의와 PRD 작성해보기 (0) | 2025.03.27 |
[내일배움캠프] PM 아티클 스터디 - 린스타트업, 애자일 모델, MVP의 시대는 끝났을까 (0) | 2025.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