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SQL
- 와이어프레임
- orderby
- PRD
- 우아한형제들
- 도그냥
- 당근마켓
- 내일배움캠프
- 토스세션
- 스타트업
- 소프트스킬
- prd작성
- 패러프레이징
- FIGMA
- mysql
- pm역량
- Spotify
- pm
- sql 예제
- 문제정의
- 그로스해킹
- groupby
- 데이터해석
- 결측치
- pm아티클
- aarrr
- jira
- 서비스기획
- 스크럼
- 아이스브레이킹
- Today
- Total
목록내일배움캠프 (26)
PM 다이어리

이번 시간도 마찬가지로 PM 아티클을 읽고 관련 핵심 내용 요약 및 정리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번 아티클의 핵심 주제는 '분할과 정복'이었다. 이전에 정보처리기사를 살짝 공부할 때 잠시 다뤘었던 개념인데 아티클로 접하게 되니 반가웠다. 아티클 글을 보면서 내용을 정리해보았다. 🚩 아티클 링크 ↓ https://brunch.co.kr/@dontgiveup/209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어릴 적 PC 게임을 했다. 인터넷이란게 없던 시절, 직접 데스크탑 로컬에 설치하는 게임이었다. 플로피 디스크 여러 장을 번갈아 끼우며 인스톨하던 낭만이 있었다. 당시 몇 가지 게임을 했었는brunch.co.kr당신은 무슨 일을 하는 사람입니까?'문제를 해결하는 사람'입니다. 서비스 기획자가 어떤 사람이냐고 정의한다면 이 글..

오늘도 어제와 마찬가지로 PM 관련 아티클 하나를 읽고 핵심 내용을 요약 및 정리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번 아티클은 PM과 부딪히는 주장들과, 타협하지 말아야 될 이유에 대해 근거를 들어 설명하는 글이었다. (내용들이 되게 직설적이었다;;) 왜 타협하지 않는 것이 올바른 방향으로 제품 개선을 이끌게 되는지, 아티클 내용과 함께 알아보도록 하자. 🚩 아티클 링크 ↓ https://brunch.co.kr/@lulina724/27 새로운 기능을 만들기 위한 최악의 설득 근거프로덕트 매니저라면 이 주장만은 피하세요 | 많은 모바일 제품 기반 비즈니스에서, 프로덕트의 변화는 제품팀 뿐 아니라 사업, 운영, 마케팅 등 전사 여러 조직에 영향을 미칩니다. 모든 팀에서brunch.co.kr현실을 직시하자. 당신의 ..

이번 시간엔 PM 관련 아티클 하나를 읽고 관련 핵심 내용을 정리 및 요약하면서 느낀 점을 적어보려고 한다. 🚩 링크는 바로 아래에 남겨놓았다. https://story.pxd.co.kr/1557 내가 PM하기 전에 알았으면 좋았을 것들들어가면서 이번 프로젝트에서 처음으로 PM을 맡아 4명의 팀원과 함께 2달간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하면서 고민했던 것이나, 새로 배운 점을 공유하려 합니다. 저처럼 디자인 컨설팅 회사에story.pxd.co.kr💎 리더십은 후천적 자질?관리는 역할입니다. 선생님이나 경찰처럼요. 누가 당신에게 그 역할을 맡길 수도, 그만두게 할 수도 있습니다. 반면 리더십은 고유한 특질이에요. 노력해서 얻을 수 있는 자질입니다.Management is a job. It’s a rol..

이번 시간엔 피그마의 핵심 개념이 되는 프레임(컨테이너), 컨스트레인트, 오토레이아웃 및 리사이징 등에 대해 알아보았다. 배우면서 느낀 점은 예전에 웹 공부할 때 배웠던 css 와 상당히 유사하다고 생각되어서 배움에 지장은 없었따~ 그럼 빠르게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보자.◆ 프레임과 그룹 프레임과 그룹 이 둘의 개념을 혼동하기 쉽다. 둘 간 차이점에 초점을 둬서 알아보겠다. 일단 개념 간의 차이를 살펴보자.🚩 프레임이란? : 피그마에서 코드 블록을 만드는 기능이자 실제 화면으로 인식하는 '개체''컨테이너'라고도 부르며, 디자인을 코드로 바꿀 때 개발이 가능한 코드 블록으로 만들어진다. 프레임 안에 다른 개체나 프레임을 넣을 수 있다. 🚩 그룹 : 여러 개체를 하나로 묶어주는 기능 한글이나 파워포인트 등..

오늘은 PM 및 기획에 관련된 아티클을 읽고 정리한 핵심 내용과 느낀 점들을 적는 시간을 가져보았다. 아티클 링크는 아래 블럭에 남겨 놓았다. 더보기📌 링크 >>>>>>> https://brunch.co.kr/@ashashash/177· 서비스 기획자- 기획자 : 목표를 위해 없던 일을 새로 만들어 세부적인 계획까지 연결하는 사람 - 서비스 기획자 : 상상(What)을 실제로 어떻게(How), 얼마만큼 구현할 건지에 초점. · UX / BM (Business Model)- 기획안에 T/F는 없지만, 서비스의 논리적 지향점의 기준으론 맞고 틀린 지점이 있을 수 있음 - '자신'의 이용경험 기준의 추측 -> 논리와 근거없는 가설. 논리적 기획이 될 수 없음 - 자신의 경험이 시작점은 될 수 있음. => 자..

난 백엔드 과정만 배우면서 피그마를 배우거나 접할 기회가 거의 없었다. 딱 한 번 사용해본 적 있는데, 대학 강의 중 AI 활용 앱 개발 관련 기획하는 활동이 있었는데, 팀플을 하면서 다 같이 피그마 툴을 활용해서 UI를 디자인했던 기억이 난다. 물론 난 아이디어 및 PPT 제작, 발표를 맡았어서 내가 피그마를 쓰며 UI를 만들진 않았다.. 그냥 피그마를 이럴 떄 활용하는구나? 정도 아 하나 더 있었는데, 웹 개발 사이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프론트엔드 파트 분들이 피그마를 활용한 웹 디자인을 보고 어떻게 만들지 상의하는 모습도 봤었다. 어쨋든 실무에도 되게 많이 사용되는 툴인건 자명하다.. 깊게 까진 배우진 않더라도 피그마가 무엇인지 강의를 들으면서 공부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피그마(Fig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