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내일배움캠프
- 와이어프레임
- prd작성
- 서비스정책서
- jira
- 당근마켓
- 소프트스킬
- 토스세션
- mysql
- pm아티클
- 문제정의
- 우아한형제들
- 그로스해킹
- sql 예제
- orderby
- PRD
- aarrr
- FIGMA
- kick-off
- 서비스기획
- 패러프레이징
- groupby
- 아이스브레이킹
- 도그냥
- 데이터해석
- pm
- 결측치
- SQL
- pm역량
- 스타트업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45)
PM 다이어리

하기 싫다. 귀차니즘이 하늘을 찌르는 요즘. 의무감에 떠밀려 TIL을 쓴다. 그웨엑https://www.youtube.com/watch?v=Lqb8qpXqtxw인스타 / 쇼츠로 하이라이트 부분이 바이럴 되서 유명해지긴 한 노래인데 그와 별개로 그냥 정말 좋은 노래임. 처음 피아노 부분도 좋고 가사도 이쁨. 굿굿💎 PRD ( Product Requirements Document , 요구사항 정의서)PRD는 예전 블로그에서도 다뤘었던 내용인데 다시 한번 짚고 넘어가보자. 요구사항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문서가 PRD로, 프로덕트 개발 과정에서의 지침서 역할을 한다. 해당 문서를 잘 작성하면 이해관계자 및 팀원들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원활히 하고 프로젝트 진행이 명확해집니다. PRD를 작성하는 방법은 대표적으로기..

피곤해요 힘들어요 귀찮아요 힝 그래도 해야하는걸.. https://www.youtube.com/watch?v=K4HenZpOW5Q고전 명곡인 어떻게 사랑이 그래요를 복면가왕 예능에서 케이윌이 커버했었다. 원곡 자체도 정말 잘 듣고 뮤비 보고 울었던 기억이 있는데, 개인적으론 케이윌이 커버한 게 더 가슴을 울렸던 것 같다. '너만을 사랑해' 부분부터 시작되는 하이라이트에서 케이윌이 제일 처절하게 절규하는 것 같았다..💎 킥오프 (Kick - Off)킥오프는 프로젝트의 첫 단계로 프로젝트가 공식적으로 시작되는 순간을 의미한다. 이 단계에서 PM은 프로젝트의 목표, 범위, 일정, 예산 등의 핵심적인 사항들을 정의하고 팀원 및 이해관계자들에게 전달한다. 이때 핵심적으로 다루어야 될 요소들은 다음과 같다.☝ ..

어제 집이 아닌 카페에서 공부해서 그른가 오늘 하루 종일 피곤하다 그래도 할 건 해야하니께.. 날씨는 근데 진짜 좋더라 볼 것두 많구 하지만 못 나가는 내 인생. 한스럽군..https://www.youtube.com/watch?v=0bTCIbyvBBc고전 명곡. 오랜만에 길가다가 우연히 플리에 떠서 들었는데 시간이 지나도 너무 좋더라. 여전히 그 자리에 남아서 마음을 울리는 노래였다. 이 참에 한 번씩 들어보는 걸 추천한다.💎 데이터 역량의 중요성https://careers.linecorp.com/ko/jobs/2650 LINE Ads - AD ML Product Manager (신입)Bundang / Korea | LINE Plus | Planning | Product Management | Ful..

주말이 너무 빨리 지나간다.. 오늘 정말 TIL 작성하기 역대급으로 힘들었던 날이다. 머리가 복잡하구먼~ 바로 맛보도록 하자. https://www.youtube.com/watch?v=h3qk0utrpHs정말 좋아하는 국내 힙합 곡 중 하나. 사운드나 랩이나 외힙에 견줄만 하다고 생각한다. 가장 기억에 남는 구절은 '포기해야하는 이유와 해야하는 이유는 늘 같아' 였다. 다들 들어보시길..❓'5 Whys Framework'의 단점최근에 서비스 기획 입문 과제를 진행하면서 5 Whys Framework를 사용했었는데, 관련해서 여러번 질타를 받고 수정을 하면서 느꼈던 점은 질문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문제 원인이 천차만별로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는 점이었다. 위의 예시에서 볼 수 있듯, 과연 대리석 부식..

오늘은 그동안 했던 서비스 기획 입문 과제를 다른 여러 튜터분들이 피드백 했던 내용들을 어떻게 해주셨고, 피드백을 수용하고 적용하는 부분들을 적어보는 TIL을 작성했따. 그럼 바로 들어가보자-https://www.youtube.com/watch?v=rXdNSezKFmA지다라는 아티스트의 High라는 곡이다. 뭔가 가을밤? 감성을 정말 R&B로 잘 표현하는 것 같다. 밤에 들으면서 거릴 걸으면 힙해진 나에 취할 수 있다. 한번씩 들어보시길~~💎 피드백 개선과정· 감성 분석 관련·기존에 작성했던 문서에서 감성 분석이 너무 갑작스레 나왔던 지적을 발견했다. 맞는 말이다. 갑자기 나타난 감성 분석이 뭔지, 왜 사용했는 지 읽는 사람에 대해 이해를 시키고 배려했어야 했다. 바로 수정해보았다. 피드백을 반영하여..

노션 링크를 아카이빙한 TIL 또 올린다. 아마 이게 마지막으로 올리는 아카이빙 글이 아닐까.. 정의한 핵심 문제에 대해 해결하기 위한 가설을 2개 수립했고, 논리성 / 실행 가능성 / 기대효과의 요소에 따라 어떤 가설을 실행할 지 결정하는 내용을 담았다. https://www.notion.so/Step-4-1de359f63dae805fac31ec38721380d1 Step 4. 해결 방안 가설 설정 | NotionMade with Notion, the all-in-one connected workspace with publishing capabilities.www.notion.so 맛있게들 잡수도록. 노래 추천 빼먹을 수 없지.https://www.youtube.com/watch?v=SaGXB-Ms9d..

또 오늘도 어제 그제와 마찬가지로 노션 링크를 아카이빙한 TIL을 올린다.. 상위 5개 키워드를 통한 문제를 Impact vs. Effort Matrix를 활용해서 우선순위를 정의했고, 핵심 문제를 선정하기 위해 타경쟁사 비교 및 이탈률 분석을 진행했다. https://www.notion.so/Step-3-1dd359f63dae80e49cb3e6e291d7844a Step 3. 문제 우선순위 파악 및 핵심 문제 정의 | NotionMade with Notion, the all-in-one connected workspace with publishing capabilities.www.notion.so 맛있게들 잡수도록. 오늘의 맛도리 노래는 아래에 남긴다. https://www.youtube.com/wa..

오늘도 어제와 마찬가지로 그냥 노션 링크를 아카이빙한 TIL을 올린다.. 문제 원인을 엑셀 차트와 5Whys 프레임 워크를 이용해서 파악(물론 예전에 피그마에서 만든 템플릿 이용함)했고, 찾게 된 상위 5개의 문제들을 유저 시나리오로 작성해보았다. https://www.notion.so/Step-2-1dd359f63dae806eb100c92fddcb265b Step 2. 문제 원인 파악 및 문제 정의 | NotionMade with Notion, the all-in-one connected workspace with publishing capabilities.www.notion.so 맛있게들 잡수도록. 아 맞다 깜빡하고 어제 노래 추천을 안하고 갔더라. 노래도 아래에서 들으시도록.https://www...

오늘은 오랜?만에 새로 쓰는 TIL이지만 군침이 돌지 않는다.쓴 내용이 없어서 군침이 안돈다,, 사실상 TIL이 아니라 Notion에 작성한 내용을 아카이빙하는 것에 가까울 뿐.. 쨌든 요즘 시간이 정말 잘 가는 거 같다. 주말에 컨디션도 좋았고.. 좀 일상이 한동안 메말라 있었던 거 같은데 요즘은 그렇지 않고 기분이 좋은 듯 하당~💎 정성 데이터를 분석하고 문제 정의하기 위와 같이 과제가 생성됐다. 근데 노션에서 작업하라네? 컨플루언스로 작업할라 했는데 했으면 클날뻔.. 일단 데이터를 읽고 분석하려는 데.. 행이 194개 ㅋㅋ 이걸 수작업으로 하라고? 난죽택. 안되겠다. 내가 왕년에 데이터 분석 좀 쳤쟈네? 바로 코드 짜서 돌려버릴거다 ㅋ 일단 긍정/부정 데이터로 감성 분석을 진행하여 나누고, 그 ..

오늘은 GPT에 관한 강의를 수강했다. 하지만 이미 GPT는 대학교 시절부터 정말 많이 사용해 본 서비스라 내용이 크게 와닿진 않았다. 다 아는 내용이라.. 그렇다면 이대로 끝낼 게 아닌, GPT를 활용해서 '코레일톡 로그인 서비스'의 기획을 해보도록 하겠다. 하지만 그전에 노래 추천 하나 또 하고 가겠다.https://www.youtube.com/watch?v=40dJS_LC6S8 泥中に咲く - Deichunisaku >충격적이게도 여자가 아니라 남자 가수다. 개인적으로 가사가 좋다기 보단 처절하게 부르는 호소력이 인상적인 노래다. 작년에 한창 많이 들었는데 오랜만에 들어도 좋다. 모르셨다면 한번씩 들어보시길 바란다.🚄 코레일톡 로그인 서비스 우선 지난 번에 세운 코레일톡 서비스 로그인 화면의 문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