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배움캠프] 데이터 드리븐 기획 내용 핵심 정리
이번 데이터 드리븐 파트의 핵심 내용을 정리해보았따.
단, 개인 과제는 이번에 진행하지 않았따.
서비스 기획 심화 개인과제는 프레이머를 이용했는데, 추후에 더 디밸롭해서 작성해볼 예정이다.
그럼 빠르게 정리해보겠다.
🔗 데이터 드리븐 아티클 모음
https://d3.harvard.edu/platform-digit/submission/netflix-your-data-your-show-your-experience/
Netflix: Your Data, Your Show, Your Experience - Digital Innovation and Transformation
Netflix has been the poster child of combining data-driven growth with creative choices. At its core, the Netflix big data approach to media has resulted in more personalized entertainment experiences for subscribers and better creative decision making.
d3.harvard.edu
https://simplicity-23.toss.im/sessions/9
데이터로 내린 의사결정, 뒤집어엎기
토스 디자인 컨퍼런스, Simplicity23
simplicity-23.toss.im
https://toss.im/simplicity-24/session/1?
Toss Design Conference | Simplicity24
Product Designer (Tools) 특별편 - Simple Questions, Big Wins
toss.im
https://simplicity-23.toss.im/sessions/12
사용자의 공감 얻으면서 제품 뜯어고치기
토스 디자인 컨퍼런스, Simplicity23
simplicity-23.toss.im
아티클 내용보단 뭔가 웹 디자인과 자막이 오른쪽 바에서 그대로 나오고 해당 부분으로 이동할 수 있게 만든게 인상적이다 ㅋㅋ
📑 데이터 분석 기본 공통 용어
🔎 1. PV (Page View, 페이지뷰)
사용자가 페이지를 조회한 횟수
- 같은 사용자가 같은 페이지를 여러 번 새로고침해도 PV는 계속 증가합니다.
페이지의 노출 빈도를 보여주는 가장 기본적인 지표입니다.
👥 2. UV (Unique Visitor, 순 방문자)
중복되지 않은 개별 사용자 수
- 같은 사람이 여러 번 방문해도 하루에 한 번만 카운트됩니다.
사이트의 실제 사용자 기반을 파악할 수 있어요.
📅 3. DAU (Daily Active Users, 일간 활성 사용자)
하루 동안 활동한 사용자 수
- 단순 접속이 아니라, **의미 있는 행동(예: 클릭, 검색 등)**을 한 유저만 포함합니다.
일일 사용자 충성도를 보여주는 핵심 지표!
📈 4. WAU / MAU (Weekly / Monthly Active Users)
주간 또는 월간 동안 활동한 사용자 수
- WAU: 일주일 기준
- MAU: 한 달 기준
장기적인 성장성과 **유지율(Retention)**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 5. Retention Rate (리텐션율)
기존 사용자가 얼마나 다시 돌아오는가
- 예: 7일 뒤에도 다시 접속한 사용자 비율
서비스 재방문율을 파악하는 데 필수입니다.
❌ 6. 이탈률 (Churn Rate)
떠난 사용자 비율
- 사용자가 서비스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비율
리텐션과 함께 충성도를 판단하는 지표
🖱️ 7. CTR (Click-Through Rate, 클릭률)
노출된 콘텐츠 중 클릭된 비율
(클릭 수 / 노출 수) × 100
광고나 추천 콘텐츠의 매력도를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 8. Conversion Rate (전환율)
방문자가 목표 행동을 달성한 비율
(전환 수 / 방문자 수) × 100
- 목표는 다양할 수 있어요: 구매, 가입, 다운로드 등
실질적인 성과를 평가하는 핵심 지표입니다.
👆 9. DCU / DCC
- DCU (Daily Click Users): 클릭을 한 사용자 수
- DCC (Daily Click Count): 하루 동안 발생한 총 클릭 수
두 지표를 함께 보면, 사용자당 평균 클릭 수도 분석할 수 있어요.
🕓 10. 세션 (Session)
사용자의 하나의 방문 활동
- 일정 시간 동안의 활동 묶음
세션 수는 방문 빈도, 이탈률 등의 계산 기준이 됩니다.
⏱️ 11. 체류 시간
사용자가 한 번 방문했을 때 머문 시간
페이지의 몰입도나 콘텐츠 완독률을 간접적으로 보여줍니다.
👁️ 12. Impression (임프레션)
콘텐츠가 사용자 화면에 노출된 횟수
- 클릭 여부와 관계없이 노출만으로도 카운트됩니다.
광고, 배너, 검색 결과 등 시각적 존재감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 13. CPA / CPC / CPM / CPI
- CPA (Cost Per Action): 가입/구매 같은 행동 1회당 비용
- CPC (Cost Per Click): 광고 클릭 1회당 비용
- CPM (Cost Per Mille): 1,000회 노출당 광고비
- CPI (Cost Per Install): 앱 설치 1회당 비용
퍼포먼스 마케팅에서 비용 효율성을 판단하는 핵심 지표입니다.
💸 14. ARPU (Average Revenue Per User)
사용자 1인당 평균 수익
- 전체 매출 ÷ 사용자 수
게임, SaaS, 광고 기반 서비스에서 자주 쓰입니다.
📊 15. ROI (Return On Investment)
투자 대비 수익률
[(총 수익 - 투자 비용) ÷ 투자 비용] × 100
- 얼마나 수익을 남겼는지를 보여주는 절대적인 지표
- 마케팅 캠페인 효율성 판단에 매우 중요!
해당 내용들은 매우 빈번하게 사용하는 단어니, 계속 암기하고 숙지하도록 하자!